토경재배에서 고려해야 할 토양 종류와 특성
2023. 5. 6. 01:00ㆍ식물/토양
728x90
반응형
토경재배에서는 적합한 토양을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다양한 토양 종루와 특성이 있으며, 이를 고려하여 적절한 토양을 선택해야 합니다.
- 모래토양
- 모래토양은 모래가 구성 요소인 토양으로 모래가 85%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것을 말합니다.
- 모래는 빠른 배수성을 가지고 있어 수분 보유량이 낮고 건조하기 쉬우며, 공기순환성이 좋습니다. 따라서 모래토양은 수분 보유량이 낮아 토양에 물이 잘 쌓이지 않는 점이 특징이며, 높은 pH 값을 가집니다.
- 모래토양은 건조하고 배수성이 좋아서 뿌리 부족증을 혜방하는데 유리합니다.
모래토양과 마사토는 같은 종류일까?
모래토양은 모래와 흙이 혼합된 토양으로, 공기순환이 잘 되고 배수성이 우수하여 뿌리가 잘 발달하지 않는 작물을 재배하기에 적합합니다. 반면에, 마사토는 흙이 거이 없이 모래와 조각된 돌, 자갈 등으로 이루어진 토양으로, 뿌리가 발달하기 어려우며, 물과 비옥한 토양을 잘 보존하기 위한 건조한 지역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모래토양과 마사토는 서로 다른 토양입니다.
- 질투양(모래)
- 질투양은 모래의 일본어라는 뜻입니다.
- 질투양은 모래가 주 성분인 토양으로서 건조하고 배수성이 뛰어나며, 공기순환성이 좋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수경재배나 다육식물, 선인장 등에 적합한 토양입니다. 다만, 비료가 적게 들어있기 때문에 비료 추가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 토양은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물과 공기를 잘 공급할 수 있어서 작물이 건강하게 자라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모래토양과 질투양은 같은 종류일까?
모래토양과 질투양은 서로 다른 토양이다.
모래토양은 모래와 흙이 혼홥된 토양으로 흙이 많지 않아 수분보유량이 낮고 건조한 편입니다.
반면에 질투양은 흙이 많이 들어있어서 수분 보유량이 높은 편이며, 비료가 적은 대신 pH가 높아 산성성 작물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 흙토양
- 흙토양은 다양한 식물을 재배하기에 적합한 토양입니다.
- 흙토양은 대부분의 작물이 성장하기에 적절한 비율의 모래, 흙, 퇴비 등이 혼합된 얕은 토양입니다.
- 흙토양은 물이 잘 흐르기 때문에 과습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비료와 물이 식물 뿌리에 적절한 양으로 공급됩니다. 따라서 흙토양에서는 작물의 성장과 생산량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 흙토양은 pH가 중성에 가깝기 때문에 대부분의 작물이 적합한 환경입니다. 흙토양은 농업에서 가장 일반적인 토양 중 하나이며, 토양이 풍부한 지역에서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 석회질 토양
- 석회질 토양은 주로 석회함이 분해되어 생긴 토양으로, 대부분 석회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석회암의 종류와 분해 과정에 따라서 다양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 석회질 토양은 pH 값이 높아서, 산성성 작물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알칼리성 작물에는 적합하며, 일반적으로 작물의 성장을 위해 칼슘, 마그네숨, 인 등의 무기질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서 비료가 적어도 생육이 좋습니다.
- 석회질 토양은 땅이 건조한 지역에서는 흙이 궅어지는 것을 방지해 줄 뿐만아니라, 물이 잘 배출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수분관리가 중요한 재배환경에서도 사용되기도 합니다.
- 갈색토양
- 비교적 평문 수준의 유기물 함량이 있으며, 토양학적으로 가장 일반적인 토양입니다. 비료가 적어도 잘 자라는데 적합하지만, 물이 잘 쌓이기 쉽습니다
- 갈생토양은 국내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분포하는 토양 중 하나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토양 유형 중 하나입니다.
-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갈생이 도는 땅을 말하며, 부드럽고 흙기가 좋아서 농사짓기에 적합합니다.
- 갈색토양은 일반적으로 산성성이 낮아서 중성성과 약산성 작물을 재배하기에 적합합니다.
- 건조한 기후에서는 수분 보전이 어려워지기에 적정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 황토
- 황토는 광물 성분 중 일부가 황으로 이루어진 토양을 의미합니다.
- 대게 노토토르프(Horizon)라 불리는 상부 토양층이 황색을 띠는 것이 특징입니다.
- 황토는 입자크기가 작은 것이 특징이며, 이는 토양의 수분보유력이 높아지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 황토는 토양의 피해 복구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비료효과가 높아집니다. 또한 황토는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다양한 무기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영양분 공급에도 탁월한 역할을 합니다
- 황토는 대게 약산성성을 띠며, pH가 낮은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일부 식물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으며, pH조절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 황토는 미량원소인 황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는 토양산화를 예방하여 토양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식물 > 토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경재배에서 필요한 광량, 온도, 습도 조절 방법 (0) | 2023.05.11 |
---|---|
토경재배에 적합한 작물의 종류와 특징 (0) | 2023.05.11 |
초보 식집사를 위한 필수 장비와 용어 설명! (0) | 2023.05.06 |
[토양] 방울토마토 키우는 방법 (0) | 2023.05.03 |
[토양] 커피나무 키우는 방법 (0) | 2023.05.03 |